내 몸이 나에게 알려주는 것들: 카페인 과다섭취

딱히 눈에 보이진 않아도 우리 몸은 우리가 활동 할 수 있도록 하루종일 많은 일을 해결해나가고 있어요. 일이 잘못되면 경고없이 종료되는 일은 없죠. 대신에 우리에게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작은 신호를 보내곤해요. 우리 몸이 보여주는 징후와 증상은 우리 몸에 더 깊은 불균형을 경고하는 우리 몸이 우리에게 말하는 방식이랍니다 (1). 이 신호들은 항상 명확하지는 않지만, 그저 약을 먹고 증상이 사라지기를 바라는 것보다 신호들을 이해하려 노력하는게 훨씬 나은 선택이에요. 그렇게 해야 질병의 증상을 누르고 억제하는게 아닌 문제의 원인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카페인을 너무 많이 마시고있어!” 받을 가능성이 높은 신호: 피로함 (2)기타 신호: 불안감, 불면증, 심장 박동 불규칙, 잦은 배뇨 (2) 카페인에 대한 1분 지식: 카페인은 이미 저축된 에너지가 별로 없는 은행 계좌로 들어가 단기적으로 약간의 추가 에너지를 빌려주려고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요. 카페인은 중추 신경계(CNS)를 자극하며 작용하는데, 코티솔과 아드레날린 호르몬을 분비를 높여 신체가 더 빨리 움직이도록 하죠 (3). 하지만 정기적으로 과도한 카페인양을 섭취하게 되면 결국 중추 신경계와 부신(Adrenal Gland)의 에너지가 고갈되고, 충분한 수면, 영양분, 쉼으로 회복하지 않으면 카페인을 아무리 마셔도 효과가 예전같지 않죠 (4). 그래도 카페인을 매일 마셔야 한다면일일 카페인 복용량은 300mg 미만으로 제한하는것을 권장해요 (2). 참고로 스타벅스에서 추출한 12온스 컵의 커피에는 260mg의 카페인이 들어있고, 12온스 컵 홍차에는 약 100mg, 녹차는 50mg 정도가 들어있죠 (2, 5, 6). 카페인을 즐기려면 카페인을 공급해주는 음료의 품질에 대해 생각해보는게 좋아요. 카페인을 녹차를 통해 섭취하고 있는지 아니면 화학물질이 함유된 에너지 드링크를 마시고 있는지. 나에게 적당한 양은 어느정도 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몸이 얼만큼의 카페인을 섭취할 수 있는지 알고있어요) 몸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방법카페인을 자주 즐기는 스타일이라면 코티솔과 아드레날린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부신(Adrenal Gland)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타민 B (특히나 B5 “판토텐산”), 비타민 C, 또는 감초를 섭취해보세요 (7, 8, 9). 그리고 몸의 에너지를 높여주고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홀푸드로 몸을 채워주면 더 좋겠죠! 이 블로그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합니다.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 진단 또는 치료를 대신 할 수 없으며, 특정한 의학적 조언에 의존해서는 안됩니다. 표현 된 견해는 인용 된 전문가의 견해이며 와일드콤의 견해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REFERENCES 1) Good, Byron J., and Mary-Jo Delvecchio Good. “The Meaning of Symptoms: A Cultural Hermeneutic Model for Clinical Practice.” The Relevance of Social Science for Medicine, 1981, pp. 165–196., doi:10.1007/978-94-009-8379-3_8. 2) Publishing, Harvard Health. “Caffeine IQ: How Much Is Too Much?” Harvard Health, Apr. 2014, www.health.harvard.edu/staying-healthy/caffeine-iq-how-much-is-too-much-. 3)Lovallo, William R., et al. “Caffeine Stimulation of Cortisol Secretion Across the Waking Hours in Relation to Caffeine Intake Levels.” Psychosomatic Medicine, vol. 67, no. 5, 2005, pp. 734–739., doi:10.1097/01.psy.0000181270.20036.06. 4) “Caffeine and Adrenal Fatigue.” Decadent Decaf Coffee Company, 12 Aug. 2017, www.decadentdecaf.com/blogs/decadent-decaf-coffee-co/caffeine-and-adrenal-fatigue. 5) Gardner, E., Ruxton, C. & Leeds, A. Black tea – helpful or harmful? A review of the evidence. Eur J Clin Nutr 61, 3–18 (2007). https://doi.org/10.1038/sj.ejcn.1602489 6) Heckman, Melanie A., et al. “Caffeine (1, 3, 7-Trimethylxanthine) in Foods: A Comprehensive Review on Consumption, Functionality, Safety, and Regulatory Matters.” Journal of Food Science, vol. 75, no. 3, 2010, doi:10.1111/j.1750-3841.2010.01561.x. 7) Alicia, et al. “Dietary Supplements: B Vitamins and the Adrenal Glands.” Dr. James L. Wilson's AdrenalFatigue.org, 27 Feb. 2010, adrenalfatigue.org/dietary-supplements-b-vitamins-and-the-adrenal-glands/. 8) Patak, P., et al. “Vitamin C Is an Important Cofactor for Both Adrenal Cortex and Adrenal Medulla.” Endocrine Research, vol. 30, no. 4, 2004, pp. 871–875., doi:10.1081/erc-200044126. 9) Lubo, et al. “Licorice: An Essential Herb for Adrenal Fatigue: AdrenalFatigue.org Blog.” Dr. James L. Wilson's AdrenalFatigue.org, 12 Apr. 2018, adrenalfatigue.org/licorice-essential-herb-adrenal-fatigue/.

brewed by WILD KOMB
LOG IN 로그인
  • SHOP
    • 안내센터
      • B2B샘플
      • 커뮤니티 이벤트 및 공구
      • 앰배서더 & 이벤트 소식
    • 더 알아보기
      • 브루어리 와일드콤
      • 준 콤부차
      • 소화 & 면역력 이야기
      • 자주 묻는 질문
    • SHOP
      • 안내센터
        • B2B샘플
        • 커뮤니티 이벤트 및 공구
        • 앰배서더 & 이벤트 소식
      • 더 알아보기
        • 브루어리 와일드콤
        • 준 콤부차
        • 소화 & 면역력 이야기
        • 자주 묻는 질문
      brewed by WILD KOMB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brewed by WILD KOMB
      • SHOP
        • 안내센터
          • B2B샘플
          • 커뮤니티 이벤트 및 공구
          • 앰배서더 & 이벤트 소식
        • 더 알아보기
          • 브루어리 와일드콤
          • 준 콤부차
          • 소화 & 면역력 이야기
          • 자주 묻는 질문
        brewed by WILD KOMB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brewed by WILD KOMB
        글쓴이
        내용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주식회사 와일드콤 | 대표: 박창한, PARK SUNGYEON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성연 | 전화: 070-7576-2005 | 이메일: cs@wildkomb.com

        주소: 성남시 둔촌대로 449 중앙인더스피아 A201 (우)13219 | 사업자등록번호: 331-87-01447 | 통신판매: 2019-성남중원-0292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