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나 바이러스말고 음식 때문에 생기는 염증

병원 또는 약국에서나 많이 들어봤던 단어 ‘염증’내가 섭취하는 음식도 염증을 일으킬수 있다는 사실에 조금 혼란스럽다고요?와일드콤 웰니스 블로그에서 쉽게 정리해봤어요! 염증, 염증, 염증. 자주 들어봤지만 설명이 부족한 단어인것 같아, 도와줘!먼저 알아야 할 것은 크게 2가지에요 1) 몸을 보호하는 염증 어렸을때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져서 다쳤을 때 상처의 부위가 뜨겁고, 빨갛고, 부어올랐던 그 경험 기억나시나요? 감기가 걸렸을 땐 코도 막히고, 열도 나고. 이런 염증 반응은 신체가 치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연적인 과정이에요. 2) 몸의 노화를 가속화하는 염증 그런데 우리 몸은 부상이나 감기같은 감염없이도 반응을 할 수 있어요. 음식과, 운동량, 그리고 스트레스 레벨에 따라 몸에 지속적인 염증 반응이 유지되는데, 상처나 감기 바이러스처럼 치료할 정확한 타겟이 없기 때문에 정상적으로는 우리를 보호했던 반응이 우리 몸을 파괴하기 시작해요 (1,2,3). 다른말로 설명하자면 더 빨리 늙는것과 같아요, 젊음을 뒷받침해주는 혈관, 장기, 관절이 망가지기 시작하거든요 (1,2,3). 인류가 몇십년간 찾아다니던 치매의 원인도 염증이였다는 사실.. (4,5). 산속에서 살지 않고서야 이런 염증은 불가피한 것 같은걸? 외부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나 업무 환경은 바꾸기가 어려울 수 있지만, 어떤 음식이 염증을 더 유발하는지 알고나면 내 몸을 돌보기가 훨씬 수월해질 수 있어요. 염증을 유발하는 식품들은 어떤 것 들이야? #1 혈당을 올리는 음식: 설탕, 액상과당, 단순당, 정제 탄수화물 우리 모두가 요즘 설탕을 최대한 피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많은 가공식품에 포함되어있는 액상과당은? 아이스티의 시럽은? 그리고 단 맛은 없지만 혈당을 올리는 단순당 또는 정제 탄수화물까지! 이런 식품들은 섭취 30분 후 우리 혈액은 염증의 지표인 CRP라는 단백질량이 급증한 상태로 2시간 이상 유지된다고해요 (6). #2 조리할때 당독소 (AGEs)의 성분이 더 많이 생성되는 가공육류: 소세지, 베이컨, 햄, 육포 고기의 섭취량도 너무 높으면 몸에 좋지 않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긴 했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솔직히 좀 자주 먹었다 싶으면 섭취를 잠시 쉬어가면 좋을 가공육류를 알려드릴게요. 가공육류는 보통 소세지, 베이컨, 햄, 스모크 미트, 육포등을 말해요. 이 제품들을 조금 더 자제해야하는 이유는 가공되면서 다른 육류 식재료보다 조리 시 당독소(AGEs)를 만들어내는 성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어요 (7). 체내에서 배출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섭취해서 축적된 당독소는 산화 트레스와 염증을 일으키게되고요(8)! #3 자연적인 트렌스 지방과는 차원이 다른 인공 트렌스 지방: 마가린, 감자튀김 (+그 외 튀김) 보통 유제품과 고기에서 찾을 수 있는 자연적인 트렌스 지방과는 달리 인공 트렌스 지방은 지방을 수소화하여 처리되어 만들어진 성분이에요 (9). 이런 성분을 함유한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식품은 마가린과 튀김류에요. 실제로 인공 트렌스 지방이 함유된 식품을 많이 섭취한 여자들은 78%나 더 높은 염증지표량을 기록했다고해요 (10). 비닐포장해 유통되는 케이크나 페이스츄리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하니 그런 제품들은 꼭 뒤에 원재료를 한번 확인해보는걸로! 참고할께, 근데 요즘 너무 바빠서 문제야.우린 다 사람이고 생활이 바빠지면 외식이 잦아지기 마련이에요. 그럴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염증을 내릴 수 있는 음식 리스트도 곧 알려드릴게요. REFERENCES 1 Saltiel, A. R., & Olefsky, J. M. (2017). Inflammatory mechanisms linking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27(1), 1-4. doi:10.1172/jci92035 2 Kolb, H., & Mandrup-Poulsen, T. (2010). The global diabetes epidemic as a consequence of lifestyle-induced low-grade inflammation. Obesity and Metabolism, 7(4), 49-50. doi:10.14341/2071-8713-5089 3 Pearson, T. A., Mensah, G. A., Alexander, R. W., Anderson, J. L., Cannon, R. O., Criqui, M., . . . Vinicor, F. (2003). Markers of Inflamm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107(3), 499-511. doi:10.1161/01.cir.0000052939.59093.45 4 BREDESEN, D. (2020). END OF ALZHEIMER'S: The first program to prevent and reverse cognitive decline. Place of publication not identified: AVERY PUB Group. 5 Tuppo, E. E., & Arias, H. R. (2005). The role of inflammation in Alzheimer's diseas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37(2), 289-305. doi:10.1016/j.biocel.2004.07.009 6 Jameel, F., Phang, M., Wood, L. G., & Garg, M. L. (2014). Acute effects of feeding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on blood lipid levels and systemic inflammation. Lipids in Health and Disease, 13(1), 195. doi:10.1186/1476-511x-13-195 7 Uribarri, J., Woodruff, S., Goodman, S., Cai, W., Chen, X., Pyzik, R., . . . Vlassara, H. (2010).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Foods and a Practical Guide to Their Reduction in the Diet.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0(6). doi:10.1016/j.jada.2010.03.018 8 Kellow, N., & Coughlan, M. (2015). Effect of diet-derive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on inflammation. Nutrition Reviews, 73(11), 737-759. 9 Brownell, K., & Pomeranz, J. (2014). The Trans-Fat Ban — Food Regulation and Long-Term Health.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0(19), 1773-1775. 10 Lopez-Garcia, E., Schulze, M. B., Meigs, J. B., Manson, J. E., Rifai, N., Stampfer, M. J., . . . Hu, F. B. (2005). Consumption of Trans Fatty Acids Is Related to Plasma Biomarkers of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The Journal of Nutrition, 135(3), 562-566. doi:10.1093/jn/135.3.562

brewed by WILD KOMB
LOG IN 로그인
  • SHOP
    • 안내센터
      • B2B샘플
      • 커뮤니티 이벤트 및 공구
      • 앰배서더 & 이벤트 소식
    • 더 알아보기
      • 브루어리 와일드콤
      • 준 콤부차
      • 소화 & 면역력 이야기
      • 자주 묻는 질문
    • SHOP
      • 안내센터
        • B2B샘플
        • 커뮤니티 이벤트 및 공구
        • 앰배서더 & 이벤트 소식
      • 더 알아보기
        • 브루어리 와일드콤
        • 준 콤부차
        • 소화 & 면역력 이야기
        • 자주 묻는 질문
      brewed by WILD KOMB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brewed by WILD KOMB
      • SHOP
        • 안내센터
          • B2B샘플
          • 커뮤니티 이벤트 및 공구
          • 앰배서더 & 이벤트 소식
        • 더 알아보기
          • 브루어리 와일드콤
          • 준 콤부차
          • 소화 & 면역력 이야기
          • 자주 묻는 질문
        brewed by WILD KOMB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brewed by WILD KOMB
        글쓴이
        내용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주식회사 와일드콤 | 대표: 박창한, PARK SUNGYEON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성연 | 전화: 070-7576-2005 | 이메일: cs@wildkomb.com

        주소: 성남시 둔촌대로 449 중앙인더스피아 A201 (우)13219 | 사업자등록번호: 331-87-01447 | 통신판매: 2019-성남중원-0292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